본문 바로가기
바다생물

[생물] #2. 문어(octopus)

by 에브리띵. 2023. 5. 3.
반응형
SMALL

출처 : 픽사베이

학명

문어 (Enteroctopus dofleini)

 

개요

문어는 연체동물이자 두족류로 8개의 다리를 가지고 있다. 다른 두족류와 같이 좌우 대칭이며, 두 개의 눈과 한 개의 입이 있다. 무척추의 유연한 몸은 작은 틈새로 드나들 수 있다. 피부의 색과 질감 등을 주변 물체와 매우 흡사하게 바꿀 수 있어 몸을 숨기기에 유리한 조건을 가지고 있다. 또한 복잡한 신경계와 뛰어난 시력 등으로 무척추동물 중에서 가장 똑똑한 동물로 꼽힌다. 문어는 산호초, 원양, 해저를 포함한 모든 바다에 서식하며 조간대부터 심해까지 다양한 종들이 존재한다. 대부분의 종은 빨리 크고 빨리 목숨을 거둔다.

 

이름

문어는 다양한 이름으로 불리운다. 이를테면 대문어, 대팔초어, 문낙지 등등. 한자로는 文魚 '믠어'로 표기한다.

 

생김새

(1) 머리와 다리

문어는 동그란 머리에 바로 8개의 다리가 이어져있다. 보통의 동물과 달리 뇌를 포함한 모든 내장이 모두 머리에 저장되어 있다. 8개의 다리에는 어디든 붙일 수 있는 강력한 빨판이 붙어있다. 2개 뒷다리는 걸을 때 사용되고, 나머지 6개는 주로 사냥할 때 사용한다. 빼곡히 붙어있는 빨판은 원형으로 보울 모양인데, 단순한 원이 아닌 안쪽과 바깥쪽으로 나뉘어 신기한 구조를 가진다. 둘 다 키틴질 큐티클이라는 두꺼운 근육으로 흡판이 표면에 붙으면 두 공간 사이가 씰링 된다. 이러한 원리로 단단하게 붙어있는 것이다. 다시 사이에 있는 입은 날카로운 턱판이 있고, 입 속에는 줄 모양으로 '치설'이라 불리는 작은 이빨들이 나있다. 치설을 이용해 딱딱한 조개, 게, 새우, 물고기 등을 잘게 부숴먹는다. 흔히 술안주로 먹는 반건조 오징어의 '입'과 비슷한 구조라고 생각하면 쉽다.

 

(2) 누두 (깔때기), 출수

문어의 눈 옆에는 '누두'라 불리는 깔때기 모양의 구멍이 있다. 입과 헷갈릴 수 있지만, 전혀 다른 역할을 하는 하나의 기관이다. 누두는 앞으로 나갈 때, 몸속의 물을 누두로 내뿜어 물살을 가르며 빠르게 나아간다. 뿐만 아니라 먹물을 발사하는 기관이기도 하다. 천적 등으로부터 위협을 느낄 때 마치 연막탄처럼 먹물을 뱉어 상대의 시야를 가려 재빨리 몸을 숨기는 것이다. 마지막으로 한가지 기능이 더 있다. 문어의 아가미가 따로 없는 것은 누두가 그 역할을 대신하기 때문이다. 즉, 물속에서 숨을 쉴 수 있는 아가미의 역할도 하는 것. 이러한 구조는 물속에서 65%까지의 높은 산소를 마실 수 있도록 도와준다.

 

(3) 피부

몸의 색은 대부분 붉은색 혹은 회색인데, 주위 모습에 따라서 자유롭게 색을 바꿀 수 있다. 원래의 동물들이라면 몸의 신호에 따라서 색을 바꾸는데 몇 초의 시간이 걸리지만, 문어와 같은 두족류는 신경조직으로 이루어져 있어 눈 깜빡할 새에 바뀐다. 이러한 것은 문어의 피부 대부분이 '프로마토포레스'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단순히 색 조합을 통해 빠르게 색을 바꿀 수 있는 것이다. 문어는 무서울 때 흰색, 화가 났을 때는 붉은색으로 변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생식

수컷 문어는 짝짓기를 할때 암컷 문어의 몸속에 넣고 다리에서 개끼를 낳게 하는 물질을 뿜는다. 그 후 노화되어 몇 주 뒤에 죽는다. 이런 수컷의 희생 끝에 수정된 알은 바위 아래 틈새에 붙여진다. 암컷 문어는 부화할 때까지 약 160일간 자리를 지킨다. 알이 완전히 깨어나는 데는 최대 10개월이 걸릴 수도 있다. 암컷 문어는 알에서 새끼 문어가 태어날 즈음에 힘을 다해 죽고, 새끼 문어는 태어날 때부터 혼자서 살아간다.

 

지능

문어는 훈련이 가능할 정도로 매우 지능이 높다. SNS에 돌아다니는 동영상에서는 문어를 훈련하고 지능을 테스트하는 실험을 하였다. 실험방법은 비어있는 유리병에 가재를 넣고 뚜껑을 닫는다. 문어의 어항에 넣어 꺼내먹을 수 있는지에 대한 실험이었다. 결과는 문어 용기를 열어 가재를 꺼내먹었다. 이후에도 여러차례 똑같은 실험을 반복했는데, 문어는 상황을 학습하여 더 빠른 속도로 가재를 꺼내먹었다. 이 외에도 문어는 종종 수족관에서 탈출하는 경우도 있다고한다.

반응형
LIST

댓글